회원소식
-
핵, 이대로 좋은가?
마창진환경운동연합 원전대책위원회는 1차로 원전관련 강연을 개최하였습니다. 이날 강사는 환경운동연합 시민환경보건센터 소장 최예용 소장님이 셨습니다. 주제로는 환경이 아프면 몸도 아프다 였습니다. …
-
주말농장 삶을 경작하다
회원 – 이문희 동읍 자여마을에는 에코 사업단이 있습니다. 친환경 먹거리와 다양한 물건들의 재활용등 환경적 대안을 마련하며 마을에서 마을 공동체를…
-
3월26일 낙동강 회룡포에 다녀왔습니다.
글 : 최재은 사실, 부끄럽게도 이명박 정권이 운하를 추진하기 시작하고 또 대운하를 4대강으로 바꾼 후에도 낙동강 상류, 회룡포와 경천대를 한번도 다녀오지 못했습니다. 기회가 여러번…
-
전기불을 대신한 촛불 1시간.
지난 26일은 지구의 날 이었습니다. 1시간 동안 모든 전기를 사용치 않는 지구촌 불끄기 행동에 동참하는 날이었습니다. 지구의날을 맞이해서 마창진환경연합 회원가족들이 함께 동참을 했습니다….
-
『녹색평론』김종철 발행인 창원 강연회
<모시는 글> 『녹색평론』김종철 발행인 창원 강연회 덜 배워도 행복한 삶, 덜 가져도 풍요로운 삶 우리 시대에 ‘도시인’으로 산다는 건 어떤…
-
언제다시 이 모래톱에서 뛰어놀 수 있을까?
11월13일 낙동강 답사를 다녀왔습니다. 어린이들 70여명과 어른들 해서 80여명이 함께 모래톱에서 노닐다 왔습니다. 아이들을 모래톱에다 내려놓으니예외없이 물장난에 모래장난입니다. 누가 시킨것도…
-
낙동강에 흘러와준 어린이들.
1. 우문에 현답 어른이 묻고 아이들이 답했습니다. 10월 29일 토요일 부모님 몇분과 아이들과 함께 낙동강의함안댐 현장을 다녀왔습니다. 이제 겨우 7~8세의…
-
강은 최고의 놀이터이며, 선물이었습니다
10월23일 1차 낙동강 탐사를 다녀왔습니다. 강을 느끼고, 강을 품고, 다시 강에게 가기위해 강으로 떠난 날이었습니다. 강은 우리에게 짧은 시간이었지만 너무나…
-
낙동강, 네가 아프니 내가아프다(5)-사라지는 것들.
태풍 덴무와 콘파스는 많은 농작물에 피해를 주었지만 다른한편 낙동강의 뭇 생명들을 죽음의 삽질로부터 피할 수 있는 시간도 함께 주었습니다. 그러나 태풍이…
-
10만 인간띠로 4대강공사를 막아냅시다
9월11일 서울의 광화문에 10만 국민행동이 시작됩니다. 잘못된 4대강 공사를 중단시키기위한 10만의 촛불을 밝히기로 했습니다. 촛불이 모이면 반드시 잘못된 4대강 공사를…